비트겟 인터페이스가 영문으로 되어있다보니, 거래 내역 등 눈에 바로 보이지 않는 메뉴들을 찾기가 쉽지 않습니다. 저또한, 한글판에서 영문판으로 바뀔 때 많이 혼동스러웠는데요,
거래 내역은 어느 정도는 사용 빈도가 있는 메뉴이니만큼, 어느 곳에 위치해 있는지 한번 눈에 익혀두면 비트겟을 이용하는데 더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됩니다.
자산 유형(선물·현물 등)별 기록을 통한 거래 내역 찾기(PC 버젼)
만약, 트레이딩 중이라면
지갑 모양 클릭 시 위처럼 Financial Record 메뉴로 바로 갈 수 있습니다.
비트겟 공식 사이트 홈화면에서 찾아가는 방법입니다.
홈페이지 상단의 지갑모양의 아이콘을 클릭한 뒤, 아래 메뉴가 펼쳐지면 Assets 메뉴를 클릭합니다.
그리고 왼쪽 사이드바 메뉴에서 위 빨간 박스의 Financial Records를 클릭하면, 위와 같이 아래 메뉴가 펼쳐집니다.
여기서 원하는 Spot(현물)·Margin(마진)·선물(Future)의 Record(기록)을 확인하면 됩니다. Coupon(쿠폰) 및 Earn(스테이킹 수익 등) 기록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Spot records(현물 기록)을 클릭해보겠습니다.
현물 거래를 하지 않아, 현물 거래 내역을 볼 수가 없고, 27일, 29일 선물 거래를 했기에 수수료가 페이백 된 기록만 있습니다.
(만약, 비트겟에서 거래를 하였는데 다음날 밤 10시~11시 사이에 위 수수료 페이백 기록이 없다면 아래 글을 참고하세요.
관련글 - https://mybackmoney.tistory.com/114)
비트겟 선물 거래 수수료 50% 할인 세팅 방법 (시장가 0.02%, 지정가 0.01%)
비트겟 수수료 할인 링크라고 가입했는 데, 수수료 할인이 되고 있나? 몇 %나 되고 있나? 모르겠다 하시는 분들에게 10초 확인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먼저, 비트겟 홈페이지에 접속하신 후 왼쪽
mybackmoney.tistory.com
다음은 선물 기록도 보겠습니다.
다양한 거래 내역이 나오는군요. 아침 9시에 지급되었던 펀딩비 내역도 있습니다.
이와같이 Financial Records 에서는 거래 내역뿐 아니라, 펀딩비, 페이백 수수료 등 모든 관련된 내역들이 모두 나옵니다. 단, 모든 내역을 자세히 살펴볼 수 없습니다. 가령, 거래 내역의 경우 매수가가 얼마였는지, 매도가가 얼마였는지 알 수가 없습니다.
비트겟 자세한 거래 내역 확인
좀더 자세한 거래내역을 확인하려면, 차트가 보이는 트레이딩 메뉴로 가야합니다.
트레이딩 메뉴로 들어와서 차트 아래 Order history를 클릭하면,
위처럼 시간, 포지션, 매수매도 여부, 코인종류, 지정가 시장가 여부, 주문 갯수, 매수가 매도호가, 수량 감소여부(Reduction only), 실현손익(Realized PnL), 순익(Net profit), 실행 유지 여부(Status) 등이 나옵니다.
위 오른쪽 부분을 확대해보겠습니다.
왼쪽 빨간색 박스처럼 매수가(31137.00)와 매도가(31153.50) 그리고 오른쪽 부분에 실현손익, 순익 등이 확인됩니다.
그런데, 순익(Net profit)이 0.02019300으로 + 값이 나왔습니다. 이전글에서 순수익을 계산할 때, 분명 - 값이었는데 말이죠.
(관련글 - https://mybackmoney.tistory.com/115)
비트겟 선물거래 레버리지별 수수료 및 거래 순수익 계산 방법 (실현 손익의 개념)
비트겟 레버리지 수수료란? 이른바, 지렛대 효과라고 하는 레버리지 투자. 비트겟 선물거래에도 그 레버리지 투자가 가능합니다. 그것도 무려 125배나 말이죠. 하지만, 그만큼 청산 리스크가 크
mybackmoney.tistory.com
이럴 때, 오른쪽 탭 메뉴인 Order details을 확인해보면 이유를 알 수 있습니다.
즉, 위의 Net profit는 실현손익에서 매도 수수료를 제외한 값인 것입니다. 희한하게도 매수 수수료(보라색 박스부분)는 반영되지 않았습니다. 밑에 쭉 내역을 살펴봐도 모두 매도 수수료만 반영된 값이 나옵니다. Net profit의 이름에 맞지 않는 계산 방식인 것 같습니다.
이처럼 비트겟의 거래 내역을 확인할 수 있는 2가지 방법을 소개해드렸습니다. 정확히 말하자면 1가지는 자산별 +,- 기록을 나타낸 것이고, 나머지 1가지는 트레이딩으로 인한 거래 내역을 나타낸 게 맞겠죠.
상황별로 필요하신 조건에 따라 이용하시면 되겠습니다.
'비트겟 팁 > 비트겟 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트겟 Net profit(순수익)은 어떻게 계산되는 값인가 (1) | 2023.07.20 |
---|---|
비트겟 레퍼럴 파트너가 되는 방법(셀퍼럴 세팅)과 혜택 (12) | 2023.07.18 |
비트겟 선물거래 레버리지별 수수료 및 거래 순수익 계산 방법 (실현 손익의 개념) (0) | 2023.07.04 |
당신의 비트겟 거래 수수료를 여태껏 상위 파트너에게 다 퍼줬던 이유 (0) | 2023.07.03 |
비트코인 거래 시 유용한 사이트 3곳 추천! (0) | 2022.05.12 |
댓글